행사명 | 조류인플루엔자 팬데믹 위험 평가 및 대비 | 조회수 | 237 |
---|---|---|---|
분류 | 대담/간담/토론회 | ||
일시 | 2024-12-11 | ||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암연구소 2층, 대회의실 | ||
주최 |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 ||
인원 | 50명 | ||
프로젝트 |
안녕하세요.
2019년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 유행은 전 세계적으로 70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초래하였고 경제, 교육, 문화를 포함한 모든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앞으로 이와 같은 감염 질환의 팬데믹이 발생하지 않게 위해서 우리는 팬데믹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 질환에 대해 잘 파악하고 대비해야 합니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이후 팬데믹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로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지목하고 있습니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 조류를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2000년 이후 가금류와 야생 조류에서 조류인플루엔자가 크게 확산되어 폐사되는 사례가 빈번해졌고,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포유류 감염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과거 아시아 지역에 국한되었던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은 현재는 유럽,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까지 퍼진 상태입니다. 2013년부터 2022년 사이 확인된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 사람 감염 사례는 2,000건이 넘으며 37%의 치사율을 보여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2024년 봄에는 미국에서 젖소와 농부들이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어느 때보다 조류인플루엔자 팬데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맞추어 대한민국의학한림원과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은 공동으로 조류인플루엔자 팬데믹 위험 평가 및 대비를 논의하는 심포지엄을 개최하고자 합니다.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해 연구하는 여러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우리나라 조류인플루엔자 상황에 대한 발표를 듣고 대비 방안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하고자 합니다. 많은 분들의 참여와 성원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일정은 아래의 포스터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