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한-인도 전략적 대화 심포지엄 / Korea-India Strategic Dialogue Symposium

매체 한국경제, 서울경제
게재일자 2025-11-13
관련 연구 국가미래전략원

한-인도 전략적 대화 심포지엄
- 일시: 2025년 11월 13일(목)
- 장소: 서울대학교 우석경제관 223동 국제회의실(504호)
- 공동주최: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주한인도대사관

심포지엄 개요
한-인도 전략적 대화 심포지엄은 국방, 인공지능, 공급망 회복력 등 세 분야에서 서울과 뉴델리가 어떻게 협력을 심화할 수 있을지를 모색하기 위해 전문가들을 한자리에 모았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강대국 경쟁 심화 속에서 한-인도 국방협력의 전략적 필연성이 강조되었으며, 해양안보, 방산 제조, 상호운용성, 신흥기술 협력 분야에서 보다 명확한 전략적 정렬이 필요하다는 점이 제기되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양국이 상이한 AI 전략을 어떻게 조율하여 포용적 발전과 미래의 노동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지를 논의하며, 한국의 하드웨어 경쟁력과 인도의 인재·디지털 인프라를 기반으로 불평등·거버넌스 격차·자동화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특히 핵심광물과 첨단 제조 분야에서 양국의 보완적 역량과 공동 투자모델, 인도-태평양 다중 노드 생산망을 바탕으로 회복력 있는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세 세션의 논의를 통해 양국이 공유하는 민주적 가치, 지역 안정, 지속가능한 혁신을 기반으로 한 미래지향적 파트너십의 청사진이 제시되었다.

세션 1: 전략적 방패 구축: 불안정한 안보질서 속의 방위협력

하르쉬 바르단 판트 교수 (Observer Research Foundation, 뉴델리)
판트 교수는 강대국 경쟁과 미국의 지역 공약 불확실성이 커지는 인도-태평양 환경 속에서 한-인도 국방협력이 전략적 필연성이 되었다고 강조했다. 양국이 광범위한 안보 우려를 공유하고 있음에도, 해양안보, 위협 인식, 위기관리 등 구체적 협력지점은 더욱 명확히 규정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상호운용성, 방산 제조, 신흥기술 분야 협력은 충분히 발전하지 못한 상태이며, 한국 역시 인도양 안보구도에서의 전략적 역할을 보다 분명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기술역량과 인도의 확장 중인 산업 기반을 결합한다면, 양국이 보다 회복력 있고 미래지향적인 안보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백우열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백우열 교수는 양국의 국방협력을 지역·기술 영역에서 안보수렴이 확장되는 ‘신냉전(New Cold War)’ 환경 속에서 재조명했다. 그는 한국과 인도가 상호 보완적 이해를 가지고 있으나, 군사협력, 경제안보, 신기술 분야에서 협력 틀을 충분히 구체화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북-러-중 협력 심화와 정치·경제·기술 안보가 융합되는 환경 속에서 양국은 보다 구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협력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러한 접근이 양국이 직면한 복합안보 환경에 대응하는 ‘전략적 방패’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이라고 보았다.

세션 2: 포용적 발전을 위한 인공지능(AI)과 일의 미래
발라마란 라빈드란 교수 (IIT Madras, Wadhwani School of Data Science and AI 학장)
라빈드란 교수는 신뢰·투명성·공정성·책임성을 핵심 원칙으로 하는 인도의 새로운 AI 거버넌스 체계를 소개했다. 그는 연산 자원 접근성 확대,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데이터셋 구축, 민첩한 규제, 정부·사회 전반의 역량 강화 등 생태계 중심 접근을 강조했다. 또한 위험 분류체계, 사고보고 시스템, 가치사슬에 따른 차등적 책임 규정 등 공공이익을 중심에 둔 제도적 장치를 설명하며, 지속적인 제도적 감독과 국제적 상호운용성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시디하르트 야다브 박사 (ORF Middle East 기술정책 펠로우)
야다브 박사는 생산성 중심의 한국식 ‘톱다운 AI 전략’과 포용성 중심의 인도식 ‘보텀업 AI 전략’을 비교하며 양국이 직면한 상이한 도전(한국: 인구구조 변화·일자리 전환 / 인도: 비공식 노동시장·인프라 격차)을 설명했다. 그는 하드웨어 강국 한국과 인재·데이터 인프라 강국 인도의 보완성을 강조하며, 공동 자격 인증, 인재 이동성 제고, AI 거버넌스 표준 정합, 양국 데이터 커먼즈 구축 등을 협력 방향으로 제시했다. 그는 이러한 ‘가치 기반 AI 파트너십’이 보다 공정하고 포용적인 AI 기반 미래노동환경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금영정 교수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부교수)
금영정 교수는 AI가 제조·물류뿐 아니라 신제품 개발 초기 단계(Fuzzy Front End)까지 산업 전반의 혁신을 견인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동시에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데이터·인프라·조직역량 격차로 인해 AI가 새로운 불평등을 심화시킬 위험도 지적했다. 그는 “작게 시작하고, 빠르게 학습하며, 폭넓게 협력하는” 전략을 통해 기업 역량 강화·생태계 협업·사람 중심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하며, 한국이 AI 도입 격차를 해소하지 못할 경우 ‘이중경제 구조’가 고착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세션 3: 회복력의 명제: 새로운 공급망 질서의 구축
파룰 박시 박사 (ORF Middle East, 에너지·기후 펠로우)
박시 박사는 에너지전환과 지정학적 분열 심화가 핵심광물을 에너지안보·산업정책의 핵심축으로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도는 가공·제조 역량 확충과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한국은 다운스트림 기술력과 공급선 다변화를 기반으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공동 광물 가공 허브, 혼합금융 기반 해외투자 모델, 재활용·저폐기 공정 R&D, ESG·추적성 표준 조화 등 구체적 협력방안을 제시하며, 양국이 기존의 단순 구매·공급 관계를 넘어 인도-태평양 지역의 회복력 있는 광물 생태계를 공동 개발(co-develop)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성훈 박사 (KDI 산업·시장정책연구부 선임연구위원)
정성훈 박사는 다극화 가속, 지정학적 긴장, 기후·팬데믹 충격 속에서 효율성 중심의 기존 글로벌 공급망 모델이 더 이상 작동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국과 인도는 기술력·고부가 제조(한국), 규모·비용 경쟁력·인구 구조(인도) 등 보완적 강점을 보유해 공급망 재편의 핵심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공동투자 플랫폼, 인도 내 전략적 산업 클러스터, 기술·표준 협력, 반도체·수소·바이오의약 분야 협력을 제안하며, IPEF·SCRI 등 인도-태평양 다자 프레임워크 속에서 양국이 다중 노드 생산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orea-India Strategic Dialogue Symposium
- Date: Thursday 13 November, 2025
- Venue: Seoul National University (223 Woosuk Economics Hall, International Conference Room 504)
- Co-hosts: SNU Institute for Future Strategy, Embassy of India

Symposium Overview
The Korea–India Strategic Dialogue Symposium brought together experts to explore how Seoul and New Delhi can deepen cooperation across defens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upply chain resilience at a time of accelerating global uncertainty. The first session highlighted the growing strategic necessity of Korea–India defense collaboration amid intensifying great-power rivalry, calling for clearer convergence on maritime security, defense manufacturing, inter-operability, and emerging technologies. The second session examined how both countries can align their distinct AI strategies to promote inclusive development and manage the future of work, leveraging Korea’s hardware leadership and India’s talent and digital infrastructure while safeguarding against inequality, governance gaps, and automation risks. The final session underscored the imperative of building resilient supply chains—particularly for critical minerals and advanced manufacturing—through complementary strengths, joint investment models, and multi-node Indo-Pacific production networks. Together, the discussions outlined a coherent roadmap for a future-oriented Korea–India partnership rooted in shared democratic values, regional stability, and sustainable innovation.

Session 1: Forging Strategic Shields – Defense Cooperation in a Fraying Security Order
Professor Harsh Vardhan Pant
Vice President, Foreign Policy, Observer Research Foundation New Delhi
Prof. Pant emphasized that Korea–India defense cooperation has become a strategic necessity in an Indo-Pacific shaped by great-power rivalry and uncertainty about U.S. commitments. While both countries share broad security concerns, he noted that their specific areas of convergence—particularly on maritime security, threat perception, and crisis management—require clearer articulation. Practical cooperation remains underdeveloped in inter-operability, defense manufacturing, and emerging technologies, and Korea must clarify its strategic role in the Indian Ocean framework. He argued that combining Korea’s technological capabilities with India’s expanding industrial base could enable both countries to build a more resilient, future-ready defense partnership.

Professor Wooyeal Paik
Professor,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 Yonsei University
Prof. Paik framed bilateral defense cooperation within a “New Cold War” environment defined by geopolitical fragmentation and expanding security convergences across regions and technological domains. He highlighted that Korea and India share complementary interests but lack a fully articulated framework for cooperation, especially in military coordination, economic security, and emerging technologies. With the rise of the North Korea–Russia–China nexus and the fusion of politic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security, he argued that a more structured and forward-looking partnership is needed to build credible “strategic shields” that enhance resilience for both countries.

Session 2: AI for Inclusive Development and the Future of Work
Professor Balaraman Ravindran
Head, Wadhwani School of Data Science and AI,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Madras
Prof. Ravindran presented India’s emerging AI governance framework, emphasizing trust, transparency, fairness, and accountable innovation as foundational principles. He described an ecosystem-focused model involving expanded compute access, culturally relevant datasets, agile regulation, and capacity building across government and society. India’s approach integrates risk classification, incident reporting, and graded accountability across the AI value chain, aiming to align innovation with public interest. He stressed the need for long-term institutional stewardship to ensure that AI development remains safe, inclusive, and internationally interoperable.

Dr. Siddharth Yadav
Fellow, Technology, Observer Research Foundation Middle East
Dr. Yadav compared Korea’s top-down, productivity-driven AI strategy with India’s bottom-up, inclusion-focused approach, noting that both countries face distinct challenges—from demographic decline and job disruption in Korea to informality and infrastructure gaps in India. He highlighted the complementarities between hardware-rich Korea and talent-rich India, proposing cooperation pathways such as joint certifications, talent mobility, shared standards for AI governance, and a bilateral data commons. He argued that a values-based partnership centered on democratic principles and broad-based inclusion can help both countries shape a more equitable AI-enabled future of work.

Professor Young Jung Geum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Prof. Geum examined AI as a driver of corporate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emphasizing its growing role in manufacturing, logistics, and innovation processes such as the fuzzy front end of product development. She warned, however, that AI can exacerbate inequalities between large firms and SMEs due to disparities in data access, infrastructure, an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To support inclusive industrial transformation, she proposed a strategy of “start small, learn fast, and collaborate broadly,” focusing on capability-building, ecosystem partnerships, and human-centered innovation. She stressed that Korea must bridge its AI adoption gap to avoid a dual-track economy.

Session 3: The Resilience Imperative – Crafting the New Supply Chain Order
Dr. Parul Bakshi
Fellow, Energy and Climate, Observer Research Foundation Middle East
Dr. Bakshi highlighted how clean-energy transitions and geopolitical fragmentation have elevated critical minerals to the center of energy security and industrial policy. She described India’s strategy to expand processing capacity and global partnerships, alongside Korea’s downstream technological strengths and diversification efforts. She proposed concrete areas for collaboration such as joint processing hubs, blended-finance platforms, shared recycling R&D, and harmonized ESG standards. She argued that India and Korea must move from buyer–supplier dynamics toward co-development of resilient, transparent mineral ecosystems embedded in broader Indo-Pacific networks.

Dr. Sung Hoon Chung
Senior Fellow, Department of Industry & Market Policies, Korea Development Institute
Dr. Chung examined supply chain resilience amid a transition to multipolar competition, emphasizing that efficiency-based models are no longer sufficient in the face of climate shocks, pandemics, and geopolitical tensions. He outlined how Korea and India’s complementary strengths—technology and high-value manufacturing on one side, scale and cost competitiveness on the other—position them as natural partners in reconfiguring global value chains. He proposed joint investment platforms, localized supplier clusters, technology-sharing initiatives, and collaboration on semiconductors, hydrogen, and biopharma. He concluded that bilateral cooperation, embedded in Indo-Pacific frameworks such as IPEF and SCRI, can form the foundation for adaptive, multi-node supply chain ne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