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간물

제목 정성 분석팀 12개국 보고서 (아랍에미리트의 경제안보) 조회수 473
출간일자 2023-07-01
클러스터
국가미래전략원 <경제안보 클러스터>
(지정학적 주요국 경제안보 정책 현황정리를 위한)
정성분석팀 12개국 보고서
『아랍에미리트의 경제안보』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의 <경제안보 클러스터>는 한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의 강점과 약점, 한국과의 연결관계 연구를 위해 전직 및 현직 외교부 공직자로 구성된 연구팀이 12개국 경제안보 현황을 평가하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불안정 속에서도 두드러진 정치적 안정과 경제 다변화 전략을 통해 경제안보를 강화해 온 아랍에미리트(UAE)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UAE는 1971년 건국 이후 강력한 리더십과 중장기 발전전략을 기반으로 ‘사막의 기적’이라 불릴 만한 성장을 구현하였으며, 이는 명확한 국가발전전략 바탕 위에 원유·천연가스 수입 기반 자본력, 지리적 위치, 개방적·혁신적 정책, 외국인 노동력 등 주요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결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최근 국제 환경에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와 유사한 지정학적 환경에 처해 있고, 국제사회 중견국으로서 다자주의와 자유무역 추구 등 우리와 유사한 입장을 갖고 있으며, 우리와 상호 보완적 경제구조와 과학기술 협력 잠재력을 갖고 있는 UAE는 유용한 경제안보협력 파트너가 될 수 있다. 특히 UAE는 에너지·원전·방산·첨단산업 등 핵심 분야에서 한국과의 협력 잠재력이 높다. 특히 UAE는 ‘미래 50년 프로젝트(Project of the 50)’을 통해 탈석유·산업다변화, 2050 탄소중립, 수소경제·디지털 혁신을 국가 발전의 핵심 축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에서도 국제적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
SWOT 분석 결과, UAE의 강점으로는 정치적 안정성과 국부펀드를 통한 효율적 자본운용, 개방적·포용적 사회 분위기가 도출되었다. 약점으로는 인구구조의 불균형, 왕정체제의 리더십 의존성의 한계, 에미리트 간 정치·경제 격차 확대가 지적되었다. 기회요인으로는 산업다변화, 에너지 전환 및 기후변화 대응 강화, 글로벌 허브로서의 위상 강화, 의료·문화산업 발전이 있으며, 위협요인으로는 이란으로부터의 안보 위협, 미·중 패권경쟁, 사우디디와의 경쟁 및 갈등 심화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UAE 간 경제안보 협력의 주요 방향으로 △바라카 원전사업의 성공적 완공 및 후속협력과 제3국 공동진출 적극 모색, △방산·첨단기술·에너지 협력, △국부펀드를 활용한 공동투자, △교육 및 문화콘텐츠 교류 확대, △보건·바이오 및 스마트팜 기술협력을 제안한다.

주제어
아랍에미리트, 경제안보, 에너지 전환, 산업다변화, 국부펀드, 원전 협력, 방산 협력, 수소경제, 탄소중립, Project of the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