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탄소중립을 위한 혁신기술 포럼 조회수 366
클러스터
탄소중립을 위한 혁신기술 포럼

 

  • 주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혁신기술 개발 및 정책 방향 논의
  • 일시: 2023년 12월 13일(수) 14:00, 장소: 서울대학교 교수회관 2층 컨벤션홀
  • 사회자: 박창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술예측센터장)
  • 강연자: 황지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략기술기획본부장), 전덕우 (GGGI 순환경제섹터 리), 남기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 토론자: 윤제용 (좌장_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성영은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민병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청정신기술연구본부), 권기영 (효성중공업 전력PU전무), 정기석 (삼성물산 건설부문 에너지솔루션 상무), 구윤모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교수)
    주최: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KISTEP
    참고: KISTEP 온라인 생중계 영상 (https://www.youtube.com/KISTEPTV),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탄소중립클러스터 (https://ifs.snu.ac.kr/cluster/carbon-neutral)

 

영상 주요 내용 요약

  •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혁신기술 개발과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포럼을 공동 개최했습니다.

  • 반기문 명예원장은 기후 위기가 인류의 가장 큰 도전이며, 기술 혁신만이 기후 위기 극복과 경제 성장을 동시에 달성할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황지호 본부장과 주영창 본부장은 한국의 제조업 중심 산업 구조와 높은 석탄 발전 비중으로 인한 탄소중립 달성의 어려움을 인정하고, 임무 중심형 R&D와 100대 핵심 기술 선정을 통한 정책적 지원을 언급했습니다.

  • 전동구 섹터 리더는 그린 수소, 메탄 회수 및 처리, 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도상국과의 국제 협력 및 실증 사업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탄소 크레딧 연계 사업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 남기태 교수는 탄소중립이 사회적 합의와 비용 감내를 필요로 하며, 스케일업을 위한 새로운 R&D 생태계 구축, 블록 펀딩, 일관성 있는 정책 및 규제와 인센티브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키워드

#탄소중립 #혁신기술 #기후위기 #R&D #국제협력 #스케일업 #에너지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