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로에 선 K-철강: 탄소중립 시대의 구조 개편과 글로벌 생존 전략

국가미래전략원 이슈브리프 Vol. 43
출간일 2025-11-21
조회수 314
관련 연구 탄소중립 클러스터
국가미래전략원 이슈브리프 Vol.43
“기로에 선 K-철강: 탄소중립 시대의 구조 개편과 글로벌 생존 전략”

이번 이슈브리프는 수출 감소·저가 외산 수입 증가·내수 침체라는 ‘3중고(三重苦)’가 겹치면서 업황이 급속히 악화되고 있는 한국 철강산업의 구조적 위기를 진단한다. 또한 국제사회의 탈탄소 압력이 기존의 위기를 더욱 증폭시키는 동시에 차별화된 저탄소 미래 시장을 선점할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음을 보인다.
본 이슈브리프는 장기적인 해법으로서 수소환원제철(HyREX)의 잠재력을 인정하면서도, 그린수소 확보의 불확실성, 청정 전력 인프라 부족, 그리고 막대한 투자비와 같은 현실적 제약을 분석하였으며, 철강산업의 탄소중립 전략이 단순한 CO₂ 감축을 넘어 국가 안보·산업 경쟁력·지역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함을 제기한다. 그리고 글로벌 경쟁 심화와 탈탄소 압력 속에서 세계 주요 철강사들이 에너지 중심의 글로벌 생산 재편에 나서고 있는 흐름을 분석하면서, 한국 역시 국내 에너지 제약을 인정하고 글로벌 시각에서 에너지 및 자원 접근성이 유리한 지역을 활용하는 생산 네트워크 재편 전략을 적극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에 더해 한국의 철강 산업의 강점인 기술력과 고부가 제품 생산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국내외 역할을 분담하는, 국내 허브(고부가가치 기술·자원순환)와 해외 허브(그린 철강 생산 전초기지)의 투 트랙(Two-Track) 글로벌 허브 전략을 제안한다. 더불어 탄소비용 현실화, 녹색 공공조달 의무화,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 지원책의 선제적 마련 등이 충족될 때 지속가능한 산업 전환이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주제어
탄소 중립, 철강산업, 탈탄소 전환, 수소환원제철(HyREX),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재편, 투 트랙(Two-Track) 글로벌 허브 전략, 고부가가치 기술·자원 순환, 그린 철강 생산 전초기지,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