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정성 분석팀 12개국 보고서 (인도의 경제안보) | 조회수 | 500 | 
|---|---|---|---|
| 출간일자 | 2023-07-01 | ||
| 클러스터 | |||
국가미래전략원 <경제안보 클러스터>
(지정학적 주요국 경제안보 정책 현황정리를 위한)
정성분석팀 12개국 보고서
『인도의 경제안보』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의 <경제안보 클러스터>는 한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의 강점과 약점, 한국과의 연결관계 연구를 위해 전직 및 현직 외교부 공직자로 구성된 연구팀이 12개국 경제안보 현황을 평가하고 정리하였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 집권 이후 인도는 세계 5위의 경제 대국으로 부상하며, 반도체·친환경 에너지·IT·바이오 등 미래 산업의 전진기지로 급성장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 경제 중심으로 부각 중인 인도의 경제 현황과 SWOT 분석을 통해 한국기업들의 인도 진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제안보적 측면에서 인도를 분석하며 관련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미래지향적 한-인도 관계 확대를 위한 5가지 분야의 협력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인도는 높은 인구구조의 강점, IT산업의 경쟁력, PLI(생산 연계 인센티브) 제도 확대, 및 인프라 투자 비중의 증가, 인도 정부의 녹색에너지 전환 달성 등과 같은 강점을 보인다. 다만, 계약 이행 지연, 공공부문 투자 부족(에너지/보건/교육/R&D) 등 구조적 한계가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지적된다.
인도는 중국을 대체하는 글로벌 제조 허브로 부상 중에 있으며, 핵심 경제 분야에서 특정국에 대한 대외 의존도를 낮추고 전략적 자립성을 확보하는 것이 인도 정부의 핵심 전략이다. 따라서 인도 정부는 ‘자립 인도(Self-Reliant India)’ 정책의 강화와 공급망 다변화, 그리고 에너지 안보 확보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 중이다.
보고서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인도 간 협력의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방산 및 안보협력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디지털·IT 협력 △숙련된 노동력 교류 △에너지 협력의 다섯 분야를 핵심 축으로 제안하며, 인도의 생산가능인구 확대와 한국의 기술·산업 경쟁력을 연계한 상호보완적 파트너십의 구축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인도가 코로나 이후 시대에 중국을 대체할 핵심 경제안보 거점이자 한국의 전략적 협력 파트너로서 가지는 중요성을 부각한다.
주제어
인도, 경제안보, 한-인도 협력, 공급망 재편, 에너지 안보, 제조업 육성, 디지털 경제, 자립 인도 정책, PLI 제도, 방산협력

  (지정학적 주요국 경제안보 정책 현황정리를 위한)
정성분석팀 12개국 보고서
『인도의 경제안보』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의 <경제안보 클러스터>는 한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의 강점과 약점, 한국과의 연결관계 연구를 위해 전직 및 현직 외교부 공직자로 구성된 연구팀이 12개국 경제안보 현황을 평가하고 정리하였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 집권 이후 인도는 세계 5위의 경제 대국으로 부상하며, 반도체·친환경 에너지·IT·바이오 등 미래 산업의 전진기지로 급성장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 경제 중심으로 부각 중인 인도의 경제 현황과 SWOT 분석을 통해 한국기업들의 인도 진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제안보적 측면에서 인도를 분석하며 관련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미래지향적 한-인도 관계 확대를 위한 5가지 분야의 협력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인도는 높은 인구구조의 강점, IT산업의 경쟁력, PLI(생산 연계 인센티브) 제도 확대, 및 인프라 투자 비중의 증가, 인도 정부의 녹색에너지 전환 달성 등과 같은 강점을 보인다. 다만, 계약 이행 지연, 공공부문 투자 부족(에너지/보건/교육/R&D) 등 구조적 한계가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지적된다.
인도는 중국을 대체하는 글로벌 제조 허브로 부상 중에 있으며, 핵심 경제 분야에서 특정국에 대한 대외 의존도를 낮추고 전략적 자립성을 확보하는 것이 인도 정부의 핵심 전략이다. 따라서 인도 정부는 ‘자립 인도(Self-Reliant India)’ 정책의 강화와 공급망 다변화, 그리고 에너지 안보 확보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 중이다.
보고서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인도 간 협력의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방산 및 안보협력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디지털·IT 협력 △숙련된 노동력 교류 △에너지 협력의 다섯 분야를 핵심 축으로 제안하며, 인도의 생산가능인구 확대와 한국의 기술·산업 경쟁력을 연계한 상호보완적 파트너십의 구축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인도가 코로나 이후 시대에 중국을 대체할 핵심 경제안보 거점이자 한국의 전략적 협력 파트너로서 가지는 중요성을 부각한다.
주제어
인도, 경제안보, 한-인도 협력, 공급망 재편, 에너지 안보, 제조업 육성, 디지털 경제, 자립 인도 정책, PLI 제도, 방산협력

파일 (1개)
- 인도의 경제안보.pdf (7 M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