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명
국가미래전략원
과제명
지속가능한 미래 의료개혁의 방향
연구내용
◦ 의료개혁 TF의 주요 논의 주제 검토 세부 주제를 논의하기에 앞서, 큰 틀을 설정하고 그 안에서 주요 논의를 전개하고자 함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논의되는 주요 과제 이외에 보건의료 정책의 환경 변화를 고려한 추가적인 의제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자 함
◦ 정부와 시장의 역할, 조화에 대한 논의 정부의 역할: 건강보험 운영, 의료기관 규제 및 관리, 의료자원 공급 등 정부의 개입이 필요한 영역과 역할에 대한 검토
Roemer(1993)은 정부가 보편적 의료보장제도 운영, 필수의료 보장, 의료 기관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OECD(2021)는 정부의 의료 공급 및 규제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함
시장의 역할: 의료서비스 공급, 의료기술 혁신, 소비자 선택권 등에서의 시장기능
Enthoven(1993)은 관리의료(Managed Care)모델을 통해 시장 경쟁을 도입하여 의료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제안하였고, Cutler & Zeckhauser (2002)는 적절한 수준의 시장 경쟁이 의료의 질과 혁신을 촉진할 수 있다고 분석함
정부와 시장의 조화: 공공성과 효율성을 균형있게 달성하기 위한 정부-시장 간 역할 분담 및 협력 방안
◦ 병원, 국립대 병원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논의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정의 병원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논의 병원의 사회적 역할과 정부 정책의 상호작용에 대한 논의
◦ 공공 거버넌스에 대한 논의 보건의료분야의 공공 거버넌스는 정부, 의료기관,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 이해관계자 간 조정 및 갈등 해결 방안 정책 결정 과정의 투명성과 책임성 확보 보건의료 데이터의 체계적인 수집, 관리 및 활용
◦ 국가와 전문가 단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등의 역할의 재조정 국가와 전문가 단체의 관계 재조정 신뢰에 기반한 보건의료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 마련 부적절한 기능 분담으로 초래되는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 저해를 막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정부, 전문가 단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각각의 역할과 책임을 재정립하고 상호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보건의료분야의 거버넌스 강화
◦ 초고령사회 전환에 대비하기 위한 일차의료 강화 대책 마련
일차의료의 강화는 의료의 질과 만족도를 높이고, 예방과 관리 측면에서 개인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Shi et al., 2002; Macinko et al., 2003; Dinkler et al., 2016)
또한 의료비 지출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일차의료의 활성화가 언급되기도 하는데, 일차의료는 불필요한 고가의 전문진료 및 자원 사용과 관련한 비용을 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건의료 서비스 이용의 감소와 의료비 지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음(Sripa et al., 2019)
가속화되는 고령화에 대한 대응과 만성질환 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해 일차 의료를 강화하는 보건의료전달체계 개편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상황임
◦ 의료개혁을 논의할 때 고령화, 지방소멸, 지역 공간 재구조화 등이 함께 고려될 필요성이 제기됨
현재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매우 빠르며, 노인 인구의 의료 수요가 매우 크게 증가하고 있어 수요자 입장을 고려한 논의가 필요함
만성질환 관리, 돌봄 서비스 등 노인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이를 대응하기 위한 의료체계 개편이 필요함
한편, 저출산과 고령화 인구 유출로 인해 지방 소도시와 농촌지역의 인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지역 간 의료자원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이 필요함
이에 따라 기존의 의료 서비스 전달체계로는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고령사회, 지역 문제, 삶의 질 문제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함
◦ 이상의 논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로축에는 기후변화, 지방소멸, 고령화의 세 축을 고려하고, 세로축에는 거버넌스(정부, 국립대, 병원, 사회보험 등), 서비스(지속가능성, 질, 효율성 등), 행위자(공급자, 소비자, 정부)를 고려한 의료개혁 체제를 제시하고자 함
해당 체제를 통해 우선순위를 정하고, ‘바람직한 의료서비스’와, 한국에서의 ‘지속가능한 보건의료’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함
공급자 측면에서의 의료전달체계 개편, 환자의 의료이용 측면에서의 관리 모두 고려가 필요함
현재까지 연구된 자료들과, 논의된 내용들을 해당 틀 내에서 재배치하고, 현재 단계의 의료 개혁 현황을 살펴보고자 함
이후, 논의가 필요한 사항과 미래 의료정책이 지향해야 할 점을 제시하고 자 함
◦ 정부와 시장의 역할, 조화에 대한 논의 정부의 역할: 건강보험 운영, 의료기관 규제 및 관리, 의료자원 공급 등 정부의 개입이 필요한 영역과 역할에 대한 검토
Roemer(1993)은 정부가 보편적 의료보장제도 운영, 필수의료 보장, 의료 기관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OECD(2021)는 정부의 의료 공급 및 규제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함
시장의 역할: 의료서비스 공급, 의료기술 혁신, 소비자 선택권 등에서의 시장기능
Enthoven(1993)은 관리의료(Managed Care)모델을 통해 시장 경쟁을 도입하여 의료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제안하였고, Cutler & Zeckhauser (2002)는 적절한 수준의 시장 경쟁이 의료의 질과 혁신을 촉진할 수 있다고 분석함
정부와 시장의 조화: 공공성과 효율성을 균형있게 달성하기 위한 정부-시장 간 역할 분담 및 협력 방안
◦ 병원, 국립대 병원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논의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정의 병원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논의 병원의 사회적 역할과 정부 정책의 상호작용에 대한 논의
◦ 공공 거버넌스에 대한 논의 보건의료분야의 공공 거버넌스는 정부, 의료기관,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 이해관계자 간 조정 및 갈등 해결 방안 정책 결정 과정의 투명성과 책임성 확보 보건의료 데이터의 체계적인 수집, 관리 및 활용
◦ 국가와 전문가 단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등의 역할의 재조정 국가와 전문가 단체의 관계 재조정 신뢰에 기반한 보건의료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 마련 부적절한 기능 분담으로 초래되는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 저해를 막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정부, 전문가 단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각각의 역할과 책임을 재정립하고 상호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보건의료분야의 거버넌스 강화
◦ 초고령사회 전환에 대비하기 위한 일차의료 강화 대책 마련
일차의료의 강화는 의료의 질과 만족도를 높이고, 예방과 관리 측면에서 개인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Shi et al., 2002; Macinko et al., 2003; Dinkler et al., 2016)
또한 의료비 지출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일차의료의 활성화가 언급되기도 하는데, 일차의료는 불필요한 고가의 전문진료 및 자원 사용과 관련한 비용을 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건의료 서비스 이용의 감소와 의료비 지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음(Sripa et al., 2019)
가속화되는 고령화에 대한 대응과 만성질환 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해 일차 의료를 강화하는 보건의료전달체계 개편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상황임
◦ 의료개혁을 논의할 때 고령화, 지방소멸, 지역 공간 재구조화 등이 함께 고려될 필요성이 제기됨
현재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매우 빠르며, 노인 인구의 의료 수요가 매우 크게 증가하고 있어 수요자 입장을 고려한 논의가 필요함
만성질환 관리, 돌봄 서비스 등 노인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이를 대응하기 위한 의료체계 개편이 필요함
한편, 저출산과 고령화 인구 유출로 인해 지방 소도시와 농촌지역의 인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지역 간 의료자원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이 필요함
이에 따라 기존의 의료 서비스 전달체계로는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고령사회, 지역 문제, 삶의 질 문제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함
◦ 이상의 논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로축에는 기후변화, 지방소멸, 고령화의 세 축을 고려하고, 세로축에는 거버넌스(정부, 국립대, 병원, 사회보험 등), 서비스(지속가능성, 질, 효율성 등), 행위자(공급자, 소비자, 정부)를 고려한 의료개혁 체제를 제시하고자 함
해당 체제를 통해 우선순위를 정하고, ‘바람직한 의료서비스’와, 한국에서의 ‘지속가능한 보건의료’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함
공급자 측면에서의 의료전달체계 개편, 환자의 의료이용 측면에서의 관리 모두 고려가 필요함
현재까지 연구된 자료들과, 논의된 내용들을 해당 틀 내에서 재배치하고, 현재 단계의 의료 개혁 현황을 살펴보고자 함
이후, 논의가 필요한 사항과 미래 의료정책이 지향해야 할 점을 제시하고 자 함
연구책임자
김홍빈 교수 (의과대학)
- -
연구진
소속 연구진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