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정성 분석팀 12개국 보고서 (멕시코의 경제안보) | 조회수 | 503 | 
|---|---|---|---|
| 출간일자 | 2023-07-01 | ||
| 클러스터 | |||
국가미래전략원 <경제안보 클러스터>
(지정학적 주요국 경제안보 정책 현황정리를 위한) 
정성분석팀 12개국 보고서
『멕시코의 경제안보』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의 <경제안보 클러스터>는 한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의 강점과 약점, 한국과의 연결관계 연구를 위해 전직 및 현직 외교부 공직자로 구성된 연구팀이 12개국 경제안보 현황을 평가하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경제안보 측면에서 멕시코와의 협력을 분석한다. 우선, 멕시코와의 협력을 SWOP 분석으로 살펴본다. 멕시코와의 협력에서 강점(긴밀한 협력관계, 멕시코의 지정학적 장점 및 저렴한 양질의 노동력), 약점(치안 불안, 낮은 투명성 등 멕시코 고질적 문제 및 양국간 낮은 우선순위), 기회(니어쇼어링, 기후변화 대응 협력, 가속화된 디지털화, 코로나19로 인한 보건 협력), 위협(글로벌 경기 침체, 제2핑크타이드, 다자주의의 약화) 등으로 볼 수 있다. 
경제안보 관점에서 멕시코와의 협력은 아래와 같이 접근할 수 있다. 1) 중국에의 의존도를 낮추는 경제다변화(한-멕 FTA), 2) 우리나라 첨단기술(우주, 전기차)을 활용할 수 있는 시장 개척 및 공급기지 확보, 3) 미국의 경제안보 전략과의 연계(반도체), 4) 상대국의 경제안보 우려에 대응하며 우리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윈-윈 전략(보건 등), 5) 특정국가 의존도가 높은 취약품목에 대한 공급망 확보(리튬 관련 미래 협력 증진) 등이 한국이 경제안보 측면에서 멕시코와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이다. 
주제어
멕시코, 경제안보, 공급망, 니어쇼어링, 첨단기술, 반도체, 전기차, 리튬, 보건 협력, 한-멕시코 FTA, 경제다변화

파일 (1개)
- 멕시코의 경제안보.pdf (8 MB)
 
                 
              